본문 바로가기

쓴 글/연극64

일제 강점기 우리나라 연극 단체 일제 강점기의 우리나라 연극 단체에 대해서 위키디피아에서 검색을 해보니 아래와 같이 검색 결과가 나왔다. 아래 단체들의 활동이나 역사를 잘 살펴보면 우리나라에 연극(서양극)이 어떻게 유입되었고 어떤 식으로 전개가 되었는지 알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아래 단체들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것은 우리나라 연극 역사를 조망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일이라고 할 것이다. 일반 : 조선연극협회 · 조선연극문화협회 신파극운동 : 혁신단 · 유일단 신극운동 : 극예술협회 · 토월회 · 극예술연구회 교육기관 : 조선배우학교 국민연극 : 현대극장 · 국민연극연구소 일제 강점기 말기의 극단 : 청춘좌 · 성군 (호화선) · 아랑 · 황금좌 · 예원좌 · 고협 2011. 5. 28.
셰익스피어는 없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공연되는 작가는 역시 윌리엄 셰익스피어다. 37편의 희곡과 시집, 그리고 소네트집을 낸 영국이 낳은 위대한 극작가 겸 시인인 셰익스피어는 1564년 잉글랜드 중부의 스트랫퍼드에이번에 출생하여 1616년 4월 23일 52세의 나이로 고향에서 사망하였으며 , , , , , , 등 주옥같은 작품들을 창조해 냈다. 그는 평생을 연극에 전념하였고 자신의 극단을 위해 전력을 다했다.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이다. 그런데 학계에서는 오래전부터 그리고 지금까지도 '셰익스피어 논쟁'이 있다. 셰익스피어 작품의 진위여부에 대한 논쟁인데 셰익스피어 작품의 실제 원작자는 누구인가 하는 것이다. 그 주옥같은 희곡들을 52년이라는 짧은 인생 동안 어떻게 한 개인의 힘으로 쓸 수 있었겠냐든가 셰.. 2011. 4. 27.
박탄고프와 환상적 사실주의 오랫만에 박탄고프(Vakhangov)를 들여다봤다. 박탄고프는 네미로비치 단첸코, 스타니슬라브스키, 메이어홀드, 타이로프 등과 같이 러시아 연극을 세계적으로 알린 연출가 중 하나로 '환상적 사실주의'(fantastic realism)의 주창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스타니슬라브스키의 사실주의와 메이어홀드의 구성주의를 혼합하였다하여 박탄고프의 연극을 환상적 사실주의 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우리가 명심해야 할 점은 박탄고프의 작품이 스타니슬라브스키와 메이어홀드의 단순한 혼합이 아니라 둘의 시스템을 융합하여 새로운 표현형식을 추구하였다는 점이다. 즉, 내면적 진실이 만들어 내는 자연스런 현실에 최대한 상상력을 가미하여 사실적이면서도 환상적인 작품 세계를 추구했던 것이다. "극장에서는 자연주의도 사실주의도 없으며,.. 2011. 4. 2.
연극이란 무엇인가3 오늘은 좀 건방진 얘기를 해보고 싶다. 연극이란 무엇인가? 그거 고민하지 말자는 거다. 만약 연극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알고자 한다면 연극을 해보면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속에서 스스로 답을 찾으면 될 것이다. 실제로 연극 작업에 참여할 수 없다면 그냥 생각 만으로 이론 상으로 정의를 내려라. 다 맞는 말일 것이다. 연극이란 많은 정의가 있을 수 있고 해답 또한 많이 있을 수 있다. 스스로 연극에 대해 갖는 일종의 확신이 중요하다. 그거면 충분하지 않을까? 그리고 자신의 확신을 조심스럽게 다져도 보고 그렇다고 강요는 하지 말고 겸손하게 이야기하라. 지금은 프로파간다의 시대도 아니고 지금은 낭만의 시대도 아니다. 지금은 다 자기 잘났다고 떠드는 카오스의 시대다. 운동이 없는 시대다. 연극이란 무엇인가? 고민.. 2010. 8. 11.
비극을 하는 이유 지금 여기, 슬픈 이야기를 끄집어 내는 것은 그 속에 묻혀 있는 희망을 찾아내기 위해서이다. 이것이 바로 비극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이자 비극의 참맛이라고 말하고 싶다. 우리시대가 자신의 삶을 감당하기엔 너무 어렵고 힘들기에 더욱 그러한 것 같다. 그러나 한 편의 연극을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을 가할 순 없다. 단지 희망을 통해 비젼을 제시할 수 있을 뿐이다. 물론 그 희망은 우리의 연극을 규정짓는 그 무엇이며 보는 이들의 마음 속에 생성되어야 할 것이다. 비극을 통해서 진실한 인간들의 슬픈 내면과 만나게 된다면 그래서 각자의 일상에 조그마한 이미지로 남아 있게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 연극이란 때론 기억의 기억을 더듬으며 모든 더러운 것들을 소각시키려는 행위, 즉 깨끗해지려는.. 2010. 3. 31.
연극이란 무엇인가2 먼저 연극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얻기 전에 한 편의 연극이 기획, 공연되어 최종적으로 결산될 때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연극 제작 과정을 통해 과연 연극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거꾸로 추론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 내 생각이다. 물론 이 글은 나의 주관적인 견해이므로 각자의 상황과 이념과는 사뭇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연극의 제작 과정 1. 구상 어떤 일이든지 초기 구상 단계가 있기 마련이다. 연극 제작도 다를바 없다. 구상 작업은 어떤 작품을 공연할 것인지 기획하는 과정이다. 다른 말로 하자면 공연의 성격을 정하는 과정이다. 주로 연극의 제작자나 연출가, 또는 기획자에 의해 구상이 이루어진다. 예전에는 주로 연출가에 의해 작품이 결정되고 기획되.. 2009. 12. 12.
연출가의 사명 한 장의 그림에서, 혹은 한 편의 시, 또는 하나의 조각품을 대하였을 때 어떤 예술가는 그 대상물을 그 자체, 즉 하나의 그림으로서 시로서 조각품으로서 곧이곧대로 받아들인다. 반면 어떤 예술가는 장르를 초월하여 자기 예술의 세계로 그것들을 끌어 당긴다. 즉, 피카소의 그림에서 보들레르의 시에서 로댕의 작품에서 극적 상상력이 솟아 오르는 것이다. 연출가는 모든 존재로부터 극적 이미지를 창출해 내야 한다. 그것이 무엇이건 간에 연출가는 그것으로부터 이미지를 끌어내어 형상화 시켜야 하는 것이다.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는 관계의 역학을 꿰뚫어 그것들의 의미화를 시도해야 하는 것이다. 물론 마구잡이 식으로 어떠한 것들을 극적으로 형상화 시켜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연출가는 언제든지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선택하여.. 2009. 12. 11.
기다림은 곧 찾아감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뭔지 모를 삶에 대해, 그리고 '자기'라고 하는 미완성의 존재에 대해 의문하고 해답을 구하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세상은 어디론가 나아가고 - 멈추는 일 없이 - 있고 그곳이 어디인지 확신이 들지 않는 것이 오늘 우리의 시각을 마비시키고 있는 것이다. 기다림은 곧 찾아감이다. 자기가 나아가야 할 곳을 향한 되물음이고 확인작업이며 방향모색이다. 그래서 우리는 기다림과 그렇지 않은 우리 자신, 혹은 주위 환경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고 그것을 특정한 공간과 시간의 무대 위에 펼쳐 놓음으로서 기다림의 미학을 형성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서 기다림의 문제를 의식의 전면에 부상시킴으로써 기다림을 느끼고, 그러한 느낌이 반문하고 확인하고 각성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 2009. 12. 11.
<고도를 기다리며> 해석 두 부랑자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는 고도를 기다리고 있다. 이 둘은 끊임없이 ‘기다리는 행위’를 하고 있다. 럭키와 포조는 고도를 기다리지 않는다. 이들에게 있어서는 억압과 피억압만의 관계가 존재할 뿐이다. 럭키와 포조는 현실, 그 자체이다.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 앞에 고도는 나타나지 않고 ‘럭키와 포조’(현실)가 나타난다. 희망을 가지지 않은 럭키와 포조는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에게 있어서 불안과 공포, 비합리로 휩싸인 세계의 모습, 그 자체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럭키와 포조는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에게 있어 절망적인 세계의 모습, 그 자체일 것이다. 그러나 에스트라공과 블라디미르는 럭키와 포조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계속 고도를 기다린다. 결국 그들에게 나타나는 것은 고도의 전령인 소년 뿐이다. 소년.. 2009. 12. 8.
아피아와 크레이그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 Adolphe Appia는 음악으로부터 희곡을 도출해낸다는 것이, 음악적 소리 자체가 연극적 이상(dramatic idea)의 근원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의 대상이 연극적 이상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그것은 연극적 정서의 내면화로, 음악이 모든 숨겨진 삶을 표현하는 수단을 확장시켜줄 것이라는 확신으로부터 비롯된다. 여기서 ‘숨겨진 삶’이란 너무나 복잡한 것이어서 사실주의 연극의 대사로는 드러내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는 당시의 현대적 무대 실습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연극적 요소들이 시간과 공간으로 융합되기 어렵게 분리되어 있을 때 어떻게 하면 연극을 모든 예술의 최고 종합체로 전환시킬 것인가를 질문하였다. 이에 그는 음.. 2009. 11. 27.